4대보험 계산 방법: 건강보험료와 국민연금
안녕하세요! 회사에 입사하고 월급을 받으면서 놀라움과 설레임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월급에서 소득세 뿐만 아니라 4대 보험료도 공제되는데, 왜 이런 공제가 필요하며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오늘은 산재보험, 고용보험, 건강보험료, 국민연금 계산 방법과 4대보험 계산기 사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4대보험이란?
4대 보험은 국가가 국민의 건강과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만든 사회경제 제도로,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포함합니다. 이것은 모든 직장인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건강보험료 계산
건강보험료는 보수월액에 보험료율을 곱하여 계산됩니다. 보수월액은 식대 등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 건강보험료율: 7.09%
- 장기요양보험료율: 0.9082%
근로자와 사업주가 50% 씩 부담합니다.
- 건강보험료 계산 (근로자 부담)
-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월급에서 3.545%
- 예를 들어, 식대 포함 420만원을 월급으로 받는다면:
- 400만원 x 3.545% = 141,800원
국민연금 계산
국민연금은 노령, 장애 등으로 소득이 줄거나 없어졌을 때 기본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입니다.
- 국민연금 보험료율: 9%
- 근로자와 사업주가 반반씩 부담합니다.
- 국민연금 계산 (근로자 부담)
- 기준소득월액 x 4.5%
- 예를 들어, 월급으로 400만원 받는다면:
- 400만원 x 4.5% = 180,000원
고용보험과 산재보험
- 고용보험료 계산 (근로자 본인부담)
-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월급에서 0.9%
- 예를 들어, 식대 포함 420만원을 월급으로 받는다면:
- 400만원 x 0.9% = 36,000원
산재보험은 전액 사업주가 부담하며 근로자는 부담할 금액이 없습니다.
4대보험 계산기 사용 방법
4대보험 계산기를 활용하면 간편하게 국민연금, 고용보험, 건강보험료 등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계산해보세요:
- 네이버나 다음에서 '4대사회보험정보연계센터'를 검색합니다.
- 페이지 우측 하단에 있는 4대보험 계산기를 클릭합니다.
- 월 급여를 입력하고 '계산' 버튼을 눌러보세요.
간단한 계산을 통해 자신의 보험료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4대보험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각 보험의 상세한 규정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돈되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두색 법인차 전용 번호판 시행시기와 각종 정보 정리! (0) | 2023.07.28 |
---|---|
가정 양육수당 지원대상 및 지원금 정보 (0) | 2023.07.27 |